- 뚜렷함 (Clarity)
시스템 전체에서 Text는 모든 크기에서 읽기 쉬워야 하며, Icon은 정확하고 명료하며, Precise는 섬세하고 적절하며, 기능성에 대한 초점이 날카로워지면 디자인에 동기부여가 된다.
- 존중 (Deference)
컨텐츠에 대한 존중, 컨텐츠에게 많은 것을 양보, UI가 사용자의 시선을 분산 시키는 것이 아닌 컨텐츠가 잘 보이도록 돕는 용도이다.
반투명도와 흐릿함은 사용자에게 힌트를 줄 수 있다. 베젤, 그라데이션 및 드롭 섀도를 최소한으로 사용하면 인터페이스가 가볍고 통기성이 유지되며 컨텐츠가 가장 중요하다.
- 깊이 (Depth)
뚜렷한 시각적 층과 사실적인 움직임은 계층을 전달하고 활력을 주며 이해를 용이하게 한다. 터치 및 검색 가능성을 통해 즐거움을 높이고 컨텍스트를 잃지 않고 기능 및 추가 컨텐츠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. 전환은 콘텐츠를 탐색할 때 깊이감을 제공합니다.
디자인 설계 원리(Design Principles)
다음 원칙들을 기억하라.
- Aesthetic Integrity
어플리케이션의 모양과 실제 행동이 얼마나 잘 맞는지. 어플리케이션의 성격과 UI가 맞아야 한다.
- Consistency
일관되어야 한다. 시스템 제공 인터페이스 요소, 잘 알려진 아이콘, 표준 텍스트 스타일 및 통일된 용어를 사용하여야 한다.
- Direct Manipulation
직접 조작. 화면 콘텐츠의 직접적인 조작은 사람들의 이해를 용이하게 해야 한다. 사용자는 장치를 회전하거나 제스처를 사용하여 화면 콘텐츠에 영향을 줄 때 직접 조작을 경험한다. 직접적인 조작을 통해 즉각적이고 가시적인 결과를 볼 수 있어야 한다.
- Feedback
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피드백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. 탭하면 인터랙티브 요소가 간략하게 강조 표시되고, 진행률 지표가 장기 실행 작업의 상태를 전달하며, 애니메이션과 사운드가 작업 결과를 명확히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.
- Metaphors
사람들은 앱의 가상 객체 및 동작이 실제 또는 디지털 세계에 뿌리를 둔 익숙한 경험에 대비되면 더욱 빨리 익숙해진다. 사람들이 화면과 신체적으로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iOS에서는 잘 작동한다. 콘텐츠를 끌고 문지르거나, 스위치를 전환하고 슬라이더를 이동하며 선택기 값을 스크롤하고 심지어 책과 잡지의 페이지를 휙휙 넘기는 등 익숙한 경험에 대비하면 도음을 준다.
- User Control
iOS를 통해 앱이 아닌 사람이 제어를 해야 한다. 앱은 어떤 행동을 할지 제안하거나 위험한 결과에 대해 경고할 수 있지만, 일반적으로 앱이 의사결정을 대신하는 것은 실수이다. 앱은 상호작용하는 요소를 친숙하고 예측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고 이미 진행 중인 경우에도 작업을 쉽게 취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람들이 통제하고 있다고 느끼게 만들 수 있다.
출처 : https://developer.apple.com/design/human-interface-guidelines/ios/overview/themes/
※ 문서를 번역한 것이 아닌 문서를 읽고 제 생각을 정리한 글 입니다.
잘못된 설명이나 이해가 있다면 댓글로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!!☺️
'HIG(Human Interface Guidelines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iOS-HIG] Modality (0) | 2021.12.27 |
---|---|
[iOS-HIG] Loading (0) | 2021.12.24 |
[iOS-HIG] Onboarding (0) | 2021.12.23 |
[iOS-HIG] Launching (0) | 2021.12.22 |
[iOS-HIG] Interface Essentials (0) | 2021.12.21 |